환경

석면

토양환경 2014. 1. 2. 17:37

1. 1급 발암물질 석면

석면의 건강피해에 대한 예상

석면이 사람의 건강에 나쁘다는 언급은 고대부터 있었다. 로마시대 저술가이자 박물학자로서 백과사전격인 자연사(Natural History)의 저자인 노(老) Pliny(Pliny the Elder)(AD 23-79)와 그리스의 지리학자이자 역사학자인 Strabo(BC 64 - AD 24)는 석면에 노출된 작업자들이 많은 건강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언급했다. Pliny는 석면채석장이나 석면섬유를 짜는 노예는 폐질환으로 젊어서 죽기 때문에 매매하지 말 것을 조언하고 석면 먼지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동물의 방광막으로 만든 마스크를 사용 할 것을 제안했다고 한다.

일찍이 이러한 석면에 대한 건강유해성이 언급되었음에도 최근까지 석면이 사용되어 온 것은 갖가지 다양한 물건을 만들 수 있는 물질로서의 유용성이 유해성을 앞지른 것이며, 석면피해는 수십 년 잠복기가 지난 후 나타난다는 것을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최초의 석면질환 진단

석면질환에 대한 첫 번째 의사의 진단은 1924년 영국에서 있었다. 석면을 취급했던 30세 여공이 있었는데 33세에 사망하였다. 그녀의 사망원인은 석면에 의한 것으로 의사는 그것을 ‘석면폐(Asbestosis)’라고 불렀다. 이 진단으로 영국에서는 석면노동자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그들 중 25%가 석면관련 폐질환자로 나타났다


 

1급 발암물질 지정

1987년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석면을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고용노동부고시(제2008-26호)로 석면을 발암물질로 지정했다.
세계적으로 1억2천5백만명이 석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연간 9만명이 석면으로 인한 질병으로 사망한다고 보고되었다. (참조: WHO 2006 Elimation of Asbestos-Related Diseases. WHO. Geneva)

2. 석면 관련 질병

석면질환의 발병

석면 섬유는 바늘 모양으로 날카롭게 생겼기 때문에 석면을 흡입하여 폐 깊숙이 침투하면 석면 섬유를 없애기 위해 방어 역할을 하는 백혈구들이 모여들지만, 오히려 석면 섬유가 백혈구들을 파괴하게 되고 염증과 흉터를 만들어 질병을 유발하며 석면소체(asbestos body)를 형성한다.
일반 분진은 5㎛이하만 폐하부에 침착되나 석면은 5-10㎛ 또는 그이상의 크기도 침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 석면 질환

대표적인 석면관련 질환은 '석면폐'(Asbestosis), '폐암'(Lung cancer), 암의 일종인 ‘악성중피종’(Mesothelioma)이며, 우리나라의 석면피해구제법에서 정한 피해구제대상 질병이기도 하다.
위 세가지 대표적 석면 질환 중 악성중피종은 대부분이 석면에 의한 질병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외에도 흉막 비후 등이 있다.


 

석면 질환의 발병도

브라운(Brown)은 석면질환의 발생 요인을 석면의 크기(Dimension), 체내 지속성(Durability), 양(Dose) 등 3D로 설명하고 있기도 하다.
- 크기 : 폐로 흡입된 석면섬유는 폐포에 있는 대식세포(탐식세포, 이물질을 탐식 소화)의 공격을 받게 되는데 길이가 5㎛이상이고 직경이 3㎛이하의 석면섬유는 대식세포에 의한 완전히 포위되지 못하고 오히려 석면소체(asbestos body)를 형성하여 조직의 섬유화


- 체내지속성 : 석면섬유는 내산성이 강하여 용해되지 않고 조직에 잔존(대식세포는 pH가 4정도)하게 됨. 청석면이나 갈석면이 백석면보다 내산성이 강함
- 흡수량 : 석면은 한 번 또는 단시간 노출되거나 간헐적으로 노출되어도 발병될 수 있음


 

석면 질환의 진단

- 환자의 현재 직업과 과거 석면에 노출될 만한 직업 및 환경을 조사(석면폭로체크)
- 흉부 X-선, CT, MDCT(다검출기CT), 3D화상, PET 검사 등
- 폐 부위를 청진하고 폐기능 검사 시행
- 가래에 석면 섬유가 묻어나오는지도 검사해볼 필요가 있으며
- 악성 중피종의 확인은 국소마취 하에 조직 검사 시행


 

석면 질환의 치료

- 뚜렷한 치료법은 없으며 석면의 노출을 금지하고
- 석면폐는 산소요법으로 증세를 완화, 악성중피종은 방사선 치료를 하면 통증 감소


 

석면 질환의 예방 및 예후

- 석면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함
- 악성질환은 폐암, 중피종이며 양성질환은 석면폐이다. 석면폐 또는 늑막 비후 환자들은 약 10명당 4명꼴로 폐암에 걸려 사망하고 악성 중피종은 진단 후 생존기간은 8-12개월, 2년 이상 생존하는 경우는 10% 미만임


 

석면 질환 치료제

현재까지 석면질환 치료제는 없다. 일부에서 치료제를 연구 중이다.


 

3. 석면 질환의 특징

석면 질환의 특징
질환 최초보고 잠재기간 정의 특징
석면폐 1907 10~20년 폐의 섬유화를 초래하는 진폐증의 일종 -호흡곤란이 석면노출이 끝난 다음 여러 해 동안 서서히 진행
-초기는 마른 기침, 말기 화농성, 점액성 가래, 피로감, 체중감소
-폐하엽이나 흉막인접 부위에서 진행
-병이 진행되면 횡경막이 두꺼워 지고, 석면침착으로 폐 아래쪽에 진한 음영이나타남
-손가락 끝이 뭉특해지는 지단거대증 발생(환자의 50% 이상)
-누적노출량 25~100개/cc/year
-석면노출량과 상관관계
-5~45% 폐암으로 발전
폐암 1930 10~30년 폐에 암세포의 발생으로 인한 조직의 이상 -호흡곤란, 피로감, 체중감소
-누적노출량 25개/cc/year
-석면노출량과 상관관계
-1개/cc/10년 노출 폐암 발생
-석면폐가 동반하면 석면에 의한 폐암 가능성 높음
-폐암의 조직형태:편편상피암,선암,대세포암,소세포암
-흡연자가 비흡자보다 50배이상 큼
악성중피종 1960 20~40년 흉막 및 복막에 생기는 악성 종양 -복부통증, 복부팽만, 가슴통증, 호흡곤란, 피로감, 식욕감퇴
-급속진행 발병후 1년이내 사망
-백석면 1개/cc/year에서 10만명 노출군에서 5명 발생
-석면노출의 지표 질환
-석면 노출량과 관계가 희박하며 소량, 단기 노출에도 질병을 일으킬 수 있음

1급 발암물질 석면

석면에 장기간 폭로될 경우 15~30년의 잠복기를 거쳐 폐암(lung Cancer), 악성중피종(mesothelioma), 석면폐(asbostosis) 등 근로자에게 치명적인 건강장해를 유발함.
석면의 노출
석면노출의 인체영향
석면노출에 따른 인체 영향과 관련된 많은 정보는 작업장에서 석면에 노출된 근로자와 관련된 연구에서 비롯되었다.
석면노출 사업장 근로자는 일반시민들이나, 석면이 함유된 건축물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보다 높은 농도의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석면노출 환경농도가 높은 근로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석면과 관련된 질병 발생률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현상을 양-반응효과(dose-response effect)라고 한다. 또한, 엄밀히 평가하자면 석면이 함유된 건축물에서 근무하는 사람이 일반시민보다 석면관련 질병발생율도 높다고 할 수 있다.
석면의 침투경로
식작용
건강상 영향
보통 직경이 2 ~ 3 μm 이하여야 thoracic region에 도달
alveolar region은 그 이하
석면관련 질병과 길이, 직경과는 매우 밀접한 관계
보통 길이가 5 μm 이상, 직경이 3 μm이하 불용성 섬유가 관여됨
  • 질병명
  • 내용
  • 폐암
  • 석면섬유가 폐에 들어가 폐장의 세포에 작용하여 세포가 이상 증식하는 악성 종양
  • 악성중피종
  • 흉막, 복막, 심막 등의 체강장막강을 덮고 있는 중피표면 조직에 발생하는 종양
  • 석면폐
  • 석면섬유가 폐에 들어가 폐장의 침착에 의한 섬유화이며, 흉막의 섬유화는 무관함
  • 기타 부위의 암 - 식도, GI 등
유해성 정도의 크기는 청석면(crocidolite), 갈석면(amosite), 백석면(chrysotile)의 순서임.
석면의 인체 유해성 정도는 석면의 크기(dimension), 체내 지속성(durability), 양(dose)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섬유형태가 가늘고 날카롭고 뻣뻣한 청석면은 체내 보존성이 높아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이 가장 높음.
최근 5년간 석면으로 인한 직업병자는 총 46명이며 질병별로는 폐암 28명, 악성중피종 13명, 기타(석면폐 등) 5명임

[출처] 석면의유해성|작성자 석면맨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면3.  (0) 2014.01.02
석면2.  (0) 2014.01.02
수은  (0) 2014.01.02
[스크랩] 동해안, 올 여름 유독 차가운 이유는  (0) 2011.07.17
[스크랩] 아프리카의 눈물, 한학수PD “검은 대륙서 PD수첩 찍어 왔다”  (0) 2010.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