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스크랩] ACS Process

토양환경 2006. 4. 27. 01:41

 dia_red.gif 개발 목적

 -

하수도는 설치지역의 사회적 및 지리적 조건 등 고유특징을 갖고 있고, 하수처리 System 또한 여러 가지 필요조건이 존재한다.

 -

이런 관점에서 기존에 적용되어 있는 하수처리 System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잠재되어 있다.

 -

향후 점점 증대하는 하수도의 수요와 요구에 정확히 대응하기 위하여 본 처리 System을 개발하였다

dia_red.gif ACS 공법 개요
 

본 공법은 하수처리장에서의 중요문제가 되는 일간, 주간 및 계절에 의한 부하변동 대처로 안정적인 유기물 및 질소·인의 고효율 제거를 위하여 ASRT (Aerated Solids Retention Time)이론을 적용하여 하·폐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다.

본 공법은 질소·인 처리에 요구되는 SRT의 제어를 쉽게 하는 방법혐기·호기시간비율을  제어하는 방법을 조합하여 안정적 수처리 수행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수처리 연구 성과에 의하면, 활성슬러지 처리에 있어서는 BOD-MLSS부하보다도 반응조  내의 SRT가 적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더욱 기본적인 인자라는 것이 판명되고 있으며, 이SRT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명백해지고 있다. 특히, 유기물외에 질소·인 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활성슬러지공법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SRT는 반응조내의 활성슬러지량과 슬러지의 처리계 밖으로 유출되는 양과의 비이지만, 기존의  최종침전지에서 잉여슬러지를 인발하는 방법에서는 유입부하변동 및 침강속도에 의해 인발  슬러지 농도가 크게 변동하기 때문에, SRT의 적정 유지가 곤란했다.

본 공법은 상기의 결점을 보완하고자 반응조에서 직접 잉여슬러지를 인발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연속유입의 단일반응조에서 완전혼합이 가능한 수단을 통하여 완전혼합된 균일한 농도의 활성슬러지는 요구되는 부하량 만큼의 정확한 인발이 가능하고 이를 잉여슬러지로서 처리함으로 손쉽게 소정의 MLSS와 SRT 유지가 가능하다.

본 공법은 잉여슬러지로서 반응조에서 직접 활성슬러지액을 유입부하량에 따라 인발한다. 그  결과 유입부하량이 크게 변동하는 경우, SRT는 변화되지만 혐기처리시간에 대한 호기처리시간 의 실질적인 비율을 유입부하량에 따라 조절함으로서 호기조건하의 SRT(ASRT)를 일정하게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공법은 활성슬러지를 농축없이 직접 탈수할 수 있는 다중원반형 탈수기와 혐기·호기시간비율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수중Aquarator를 수단으로서 채택하였다.

● 본 공법 흐름도

 

- ASRT의 제어방법

일반적인 표준활성슬러지법에서의 SRT는 24시간 호기조건과 유기물 제거을 기준으로 하는데 비하여 ASRT(Aerated Solid Retention Time)는 호기운전시에 있어서의 SRT로 질소·인을 처리하기 위한 혐기·호기조건을 맞추기 위하여 SRT의 일부만을 호기로서 처리한다는 개념이며, 이를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반응조에서 직접 활성슬러지를 잉여슬러지로서 인발하는 방법을 채용하였다. 이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혐기·호기시간비 : 1일중 호기운전시간÷24시간

한편, SRT는 (2)식으로 정의되며 계외로 배출되는 슬러지량은 잉여슬러지량과 최종침전지의 유출 SS량의 합이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잉여슬러지량>>최종침전지유출SS량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2)식은 (3)식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법과 같이 반응조에서 직접 잉여슬러지를 인발하는 경우는 (4)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반응조 용량과 인발슬러지량을 결정하면 유입수량이나 기질농도에 관계없이 SRT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주간 및 계절에 의한 유입부하량 변동에 따라 인발슬러지량을 조정하여 소정의 MLSS농도를 유지할 경우, SRT가 크게 변동하기 때문에 일일 호기운전시간, 즉 혐기·호기시간비의 조정에 의해서 ASRT를 일정히 제어할 수 있다.

 

dia_red.gif ACS 공법 특징(하수도를 중심으로)

 - 하수처리 System의 필요조건



- ACS 공법의 특징

  - 유기물 및 질소·인 제거능력이 우수

     수중Aquarator를 이용한 DO 제어에 의해서 시간별로 명확한 혐기·호기상태 형성과 완전혼합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ASRT 제어가 가능하여 하·폐수의 고효율 유기물 및 질소·인 처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4. ACS공법의 유기물 및 질소.인 제거원리" 참조).
     

구    분

BOD

COD

SS

T-N

T-P

처리효율(%)

90 ∼ 98

70∼90

 

 

  - 건설비와 유지관리비가 저렴

  ① 설계 및 건설이 여타의 활성슬러지 공법보다 단순·Compact하다.
                < 1,000㎥/일 규모의 하수처리시설 평면도 >

② 최초침전지, 농축조, 슬러지저류조, 슬러지처리동 등의 슬러지처리를 위한
    대규모 부대시설 불필요   
    → 반응조에서 활성슬러지를 잉여슬러지로 직접 인발하여 농축없이 탈수

     ③ 유량조정조 불필요 및 최종침전지의 소용량화
         → 유량 및 수질의 변화에 대응 가능한 반응조 설계 및 반응조에서 최종침전지로의 유출부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량조정장치 설치

     ④ 전력비 및 슬러지처리비 절감
 

전 력 비

슬러지 처리비

    - 간헐포기에 의한 송풍량 감소

    - 슬러지처리계통의 단순화로
       부대설비 운영전력 불필요

    - 전력비 절감형의 탈수기 및
      세척수펌프 등 부대설비 불필요

슬러지 성상에 따라 함수율 발생량은
다르나, 기존 Belt-Press 탈수기에
비하여 3∼5%의 낮은 함수율 기대,
탈수Cake량 10∼20% 절감

      ⑤ 하수처리시설의 경우 무인운전이 가능
          - 공법 자체가 단순하고, 부하변동에 강하여 중앙처리장의 감시시스템에
             연결한 원거리 무인자동운전이 가능

 

  - 유지관리가 용이

① 본 공법의 공정관리항목과 운전조작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운전조작방법에
    의한 공정관리항목의 변환과 방법이 자유롭고 단순하다.

공 정 관 리 항 목

운 전 조 작 방 법

 - MLSS농도 및 SRT

 안정한 수처리, 슬러지 성상확보가 가능한 범위이상으로 MLSS, SRT 관리

 - 잉여슬러지 인발량

 잉여슬러지 펌프 및 탈수기 운전시간 설정만으로 조작이 가능

 - ASRT

 온도변화에 따른 완전질산화, 탈질 및 인의 과잉섭취를 위한 간헐적 호기시간 관리

 - 호기 처리시간

 A/S Controller의 포기시간 설정만으로 조작이 가능

 

② 공정관리를 위한 운전설비(수중Aquarator, 다중원판형 Screw-Press 탈수기)가
    적고, 그 소모품의 가격이 저렴하고 모든 교환이 현장에서 가능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 유입부하변동에 대한 대처능력이 우수

 - Bulking 현상과 악취가 거의 없음

        ① 다음과 같은 이유로 사상성세균이나 방선균이 억제되고, 슬러지처리계통의 단순화로 부패한 반류수에 의한 Bulking 현상을 방지한다.

② 또한, 활성슬러지를 잉여슬러지로서 농축없이 직접 탈수함으로서 슬러지 농축 및
    저류의 부패로 인한 악취를 방지한다.

 

dia_red.gif ACS 공법에서의 유기물·질소·인 제거 원리

 - 유기물 제거

활성슬러지의 증식과 BOD 제거의 관계는 다음 식과 같다

(1)식을 변형하면,

 여기서, dS/dt는 활성슬러지의 증식속도(㎎/ℓ·일), Y는 수율계수(㎎MLVSS/㎎ BOD), dℓr/dt는 활성슬러지의 BOD제거속도(㎎/ℓ·일), S는 활성슬러지 미생물농도(㎎/ℓ), b는 활성슬러지의 자기분해계수(1/일), 1/S·dS/dt는 활성슬러지의 비증식속도(1/일), 1/S·dℓr/dt은 BOD의 비제거속도(1/일)

 또한, 활성슬러지미생물의 비증식속도와 기질(BOD)농도의 관계는 Monod 식에 의해 나타내고, 이것에 활성슬러지의 자기분해계수를 고려하면 (3)식이 얻어진다.  

 여기서, μ는 비증식속도(1/일),  μmax는 최대비증식속도(1/일), Ks는 포화정수(㎎/ℓ), ℓe는 기질평형농도(㎎/ℓ)

 그리고, 미생물에 의한 기질의 비제거속도는 효소반응의 Michaelis- Menten의 식에 따른다고 보면 다음 식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k는 기질의 최대비제거속도(1/일)

(4)식을 (2)식에 대입하면 (5)식이 얻을 수 있다.

 여기서, 1/S·dS/dt는 μ, Y·k는 μmax이므로 (5)식과 (3)식은 일치한다.

 본 법과 같이 연속유입완전혼합형의 활성슬러지법으로서 잉여슬러지를 반응조에서 직접 인발하여 탈수처리하는 경우, 반응조내의 활성슬러지미생물의 물질수지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V는 반응조의 용량(㎥), Qw는 잉여슬러지인발량(㎥), Qs는 유입수량(㎥), So, Se은 각 유입수중의 미생물농도 및 처리수의 미생물농도(㎎/ℓ)

 그리고 유입수중의 미생물농도가 0(So=0)이라고 가정하면 정상상태에서는 dS/dt=0 이므로 (6)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좌변은 반응조에 있어서의 SRT 즉 활성슬러지미생물의 체류시간의 역수를 나타내고 있고, 여기서 Se가 대단히 작기 때문에 S≫Se, Qw·S≫Qs·Se 라고 하면 (7)식은 (8)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8)식은 BOD제거 동력학기초식 (2)식와 동일하므로

(9)식을 (5)에 대입하면 (10)식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을 ℓe 로서 정리하면
    (11)식이 유도된다.

    

(11)식에 있어서 Y, k, Ks, b는 각각 하수중의 유기오탁기질과 활성슬러지에  관한 정수이며, 활성슬러지법에 있어서 처리수질의 ℓe는 반응조내의 수리학적체류시간(HRT)이 아니고, SRT 엄밀히 따져서는 호기조건하에서의 활성슬러지 미생물체류시간인 ASRT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활성슬러지법의 유지관리이 있어서 ASRT가 중요한 지표가 된다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또한, 유입수와 처리수의 BOD농도를 각각 ℓs,  ℓe 이라고 하면 BOD의 기질제거속도는,

(8)식을 변형하면

(13)식에 (12)식을 대입하면

                 단, V/Qs=HRT

(14)식을 보면 활성슬러지미생물농도는 SRT의 함수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model에 있어서, 우선 SRT의 값을 설정하면 Y, k, Ks, b, s의 값을 가정하는 것에 의해, (11)식으로부터 e의 값이 구할 수 있다. HRT의 값을 설정하면 (14)식으로부터 S가 결정된다. 여기서 각 parameter의 값을 아래와 같이 가정하여 얻은 값을 그림4-1에 SRT와 처리수BOD 및 MLSS의 관계로 나타냈다.

Y=0.62(㎎MLVSS/㎎BOD, 실험값), k=5.6(1/일), Ks=50(㎎BOD/ℓ),  b=0.0072(1/일, 실험값), s=200(㎎BOD/ℓ), HRT=0.83일


그림4-1 SRT와 처리수 BOD 및 MLSS의 관계

 활성슬러지법에서 처리수질을 규정하는 것은 SRT, 엄밀한 의미로는 ASRT인 것을 기술하였다. 그림4-1을 보면 model계산결과로부터 BOD는 1∼2일이 짧은 SRT에서 충분히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법에서와 같이 완전혼합형의 단일반응조에서 BOD 제거 및 질소제거를 위해서 유기물산화세균에 비하여 증식속도가 매우 느린 질산화세균를 계내에 유지할 수 있는 ASRT에서 운전하면, BOD 제거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고 말할 수 있다.


 - 질소 제거

활성슬러지중의 질산화세균의 증식과 NH₄-N 제거 사이에는, 다음 식이 성립된다.

 여기서, dSNH/dt는 질산화세균의 증식속도(㎎/ℓ·일), dNHR/dt는 질산화속도(㎎/ℓ·일), SNH는 질산화세균 농도(㎎/ℓ), YNH는 수율 계수(㎎-세포/㎎-NH₄-N), bNH는 질산화세균의 자기분해계수(1/일), NH는 평형 NH₄-N농도(㎎/ℓ), KNH는 질산화반응의 포화정수(㎎/ℓ), kNH는 최대 질산화속도 항수(1/일)

(2)식을(1)식에 대입하고, 양쪽 변을 SNH로 나누면 (3)식을 얻을 수 있다.

회분실험에 의한 활성슬러지의 질산화속도 실험결과에서는, 그림4-2와 같이 NH₄-N은 거의 0㎎/ℓ 근처까지 직선적으로 감소했다. 이것은 질산화 반응이 영차반응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동시에 (3)식에 있어서 KNH의 값이 대단히 작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EPA에서는 KNH를 온도(℃)의 함수 (4)식로 나타내고 있다.

KNH=100.051T-1.158 ―――――――――――――――――――――――――(4)

일례로 20℃ 일때, KNH는 0.7㎎/ℓ가 된다.


그림4-2 반응시간과 NH₄-N 농도의 관계 

이상에서 KNH << NH 이기 때문에, (2)식 및 (3)식으로부터 각각 다음 식이  성립된다.

 여기서, μNH는 질산화세균의 비증식속도(1/일), YNH·kNHNHmax는 질산화세균의 최대비증식속도(1/일)

 (6)식에서 질산화세균은 NH₄-N 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비의 증식 속도로 증식하고, 최종적으로 그 균체분량은 유입하는 NH₄-N 부하량에 알맞은 량에까지 도달한다. 즉, NH₄-N 부하량에 의해 질산화세균의 균체량은 변화하고, 부하가 높은만큼 균체량은 증가한다. 한편 (5)식에서 질산화속도는 질산화세균의 균체량에 비례한다. 이상에서, 유입 NH₄-N 농도가 높은 만큼, 반응조내의 질산화세균량이 많아지고 질산화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슬러지는 응집흡착작용이 풍부하기 때문에 질산화세균은 활성슬러지속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슬러지내에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잉여 활성슬러지양으로부터 결정되는 ASRT를 반응수온에 대해서 질산화세균 증식에 필요한 레벨(ASRT>1/μNH)로 유지하면, 위에 기술했던 바와 같이 질산화반응은 영차반응이 된다. 그러므로, 겨울철의 저수온하에서도 완전질산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것을 그림4-3에 나타냈다. 원래 대로라면, ASRT≒1/μ로 처리수 NH₄-N은 거의 0이 되지만, 포화 정수가 큰 경우나 일간 변동에 의한 원수중 질소의 농도 변화가 있는 경우는 1/μ이상의 ASRT가 필요하게 된다.


그림4-3 유입 Kje-N 농도가 일정할 경우 ASRT와 처리수NH₄-N 농도와의 관계 

더욱이, 본 법에 있어서는 동일의 반응조에서 BOD와 질소 제거를 하지만, 유기물 산화 세균과 비교해 증식 속도가 늦은 질산화 세균을 계내 유지를 할 수 있는 ASRT로 운전하면, BOD 제거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게 된다. 

- 실제 하수처리장을 가정한 유입부하 변동과 ASRT의 관련성

부하변동과 질산화의 관계를 그림4-4에 나타냈다. 이것은 당초 질산화대상질소(이하, 기질이라 칭함)가 일정 속도로 반응조로 공급되고, 그 후 1주일 사이에 고부하, 저부하가 반복되는 주간변동하에서 질산화된 NH₄-N, 잔류 NH₄-N 및 계내의 질산화세균량의 거동을 표현한 것이다.

 반응조가 완전혼합형으로 DO가 변화되지 않고, 질산화반응을 영차반응으로 가정한 경우, 부하변동에 의한 처리수 NH₄-N의 잔류는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계내의 질산화세균량이 일정속도로 공급되고 있는 기질을 완전질산화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정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계에, 지금까지 이상의 속도로 기질이 공급된 경우, 질산화세균은 공급 기질량으로 인해 보다 큰 속도에 증식하려고 하지만, 기질 공급속도의 증가가 있는 한도보다 빠르게 기질은 잔존한다. 반대로 기질공급 속도가 늦어지면 증식속도는 그것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즉 기질공급 속도가 증감할 때, 질산화세균의 증식 속도는 기질공급의 감소 방향으로는 비례하지만, 증가 방향에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는다. 질산화세균에 있어서, ASRT는 증식에 걸리는 시간이라고 하는 견해도 가능하고, 기질존재하에서는 ASRT가 긴 만큼 증식 속도는 커진다.

 한편, 주일의 전반과 후반에 기질공급 속도가 5배 이상 변동하는 경우에서는 부하에 적합한 잉여활성슬러지의 인발 및 호기시간, 즉 부하가 클 때는 잉여활성슬러지의 인발양을 많게 포기시간을 길게 하고, 부하가 작을 때는 그와 반대로 하는 ASRT 일정 제어운전을 하지 않으면, 그림 4-4에 나타내듯이 계내 질산화세균량은 점점 감소한다.

 그 결과, 기질공급 속도(부하)가 작을 때는 완전질산화가 달성되지만, 부하가 커지게 되면 보다 고농도의 NH₄-N 이 잔류하게 된다.

그림4-4 부하변동과 질산화 관계

 이와 같이 장주기의 큰 부하변동이 있는 경우에는 고부하시에 맞취 ASRT를 설정하고, 그 일정 제어운전이 필요하게 된다. 부하변동하에서의 완전질산화의 조건을 도식한 것이 그림4-5 이다.

 고부하시에 필요한 ASRT에 일정 제어운전을 하면 계내의 질산화세균량은 고부하시의 공급 기질량으로 알맞은 양까지 도달해, 완전질산화가 달성된다.


그림4-5 완전질산화 조건 

- 탈질반응 

 탈질반응에서의 NOx- N의 제거 속도는(7)식에서 나타낸다.

(7)식의 양변을 S로 나누면 (8)식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1/S·dNr/dt 는 탈질속도(kg-NOx-N/kg-SS·일), 1/S·dℓr/dt 는 BOD제거속도(kg-BOD/kg-SS·일), a는 제거되는 BOD중에 탈질에 이용되는 비율(-), b는 내생탈질속도(kg-NOx-N/kg-SS·일)

  활성슬러지에 의한 탈질반응은 질산화반응과 같이 영차반응인 것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탈질속도는 NOx-N 농도가 아닌  수소공여체로서의 유기기질(BOD)농도에 의해 좌우된다. (8)식에서, BOD제거율이 일정하면, 탈질속도는 BOD-SS부하에 비례한다.

  다음으로 ASRT 제어 관점에서 탈질속도 보면, 저부하시에는 필요한  ASRT를 확보하는 량만큼 만 포기하고, 그 외에는 포기하지 않고 혐기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혐기시간대의 BOD-SS부하를 증가시켜 탈질에 이용되는 유기물량(활성슬러지 흡착유기물도 포함)을 증대시킨다. 그 결과 탈질속도가  빨라진다.

  이상, 질산화반응에 있어서는 질산화세균의 계내 유지와 활성유지, 탈질반응에 있어서는 유기기질의 유효 이용과 탈질활성의 유지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ASRT는 운전제어와 설계인자로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인 제거

생물학적 질소제거법과 생물학적 인제거법의 사이에는, 원리에 있어서 근본적인 상위가 있고, 어느 쪽의 process라도 효율적인 질소·인 동시제거의 어려움이 지적되어 있다. 이 원리상의 상위란 생물학적 질소제거법에서는 비증식속도가 느린 질산화세균을 계내에 유지하기 위해서 SRT가 긴 운전이 필요한 반면 생물학적 인제거법에서는 활성슬러지에 과잉 인을 섭취시키기 위해서 SRT를 짧게 하여, 잉여슬러지의 생성량을 많게 하는 운전제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법에서는 그림4-6과 같은 활성슬러지 미생물에 의한 인의 방출 및 과잉섭취의 대사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인을 활성슬러지중에 함유시켜 활성슬러지를 인발탈수처리함으로서 인제거 효율을 높인다. 즉 인의 과잉섭취가 이루어지는 호기시간대에 집중적으로 잉여슬러지의 인발탈수를 진행한다.


그림4-6 생물학적 인제거의 원리 

일반적으로 표준활성슬러지법에서의 인 함유량은 통상 0.02∼0.03 g-P/g- MLSS인데 비하여 혐기호기를 병행하는 공법에서의 활성슬러지 미생물 세포내에  폴리인산이 축적되어 인의 함유량은 0.025∼0.05g-P/g-MLSS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ia_red.gif ACS 공법 수원시 환경사업소 실증 Plant 사진 

실증Plant : 충북 진천군 만승면 월성리 124 환경시설관리공사 진천사업소
☎  0434-535-0305∼6


실증시설 전경 


수중Aquarator 


출처 : 깨끗한 물
글쓴이 : 이해일 원글보기
메모 :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질소인제거 Process  (0) 2006.04.27
[스크랩] ABR (Advanced Bio-Reactor) Process  (0) 2006.04.27
[스크랩] 하폐수처리 공정 배우기  (0) 2006.04.27
[스크랩] 환경 상식  (0) 2006.04.27
[스크랩] 지하수관리제도  (0) 2006.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