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랩의 봉수는 (그림 2-2)에서와 같이
50~100mm정도가 되어야 한다. 트랩의 봉수를 너무 깊이하면 유수의 저항이 증가되어 통수 능력이 감소된다. 트랩은 가능한도 내에서 위생
기구에 근접하여 장착하여야 하며, 너무 떨어질 경우 트랩내의 유속이 감소되고 트랩 통수로의 자가세정 작용이 감퇴되어 폐쇠의 원인이 된다.
(1) 트랩의 봉수가 파괴되는 원인
① 자기 사이펀(self-siphon)작용: 배수시에 트랩 및 배수관은 사이펀 관을 형성하여 기구에 만수된 물이
일시에 흐르게 되면 트랩내의 물이 자기 사이펀 작용에 의해 모두 배수관 쪽으로 흡출되어 배출하게 된다.
S트랩의
경우에 특히 심하다.
② 흡출작용 : 수직관 가까이에 기구가 설치되어 있을 때 수직관 위로부터 일시에 다량의 물이 흐르게 되면
그 수직관과 수평관의 연결관에 순간적으로 진공이 생기고 그 결과 트랩의 봉수가 깨지게 된다.
③
모세관 작용 : 트랩의 출구에 솜이나 천조각, 머리카락 등이 걸렸을 경우 모세관 현상에 의해 트랩의 봉수
를
깨뜨리게 된다.
④ 증발 : 위생기구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봉수의 물이 증발되어 수봉이 파괴되는 현상을 말하며 이
현상은 통기관으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화장실이나 수술실 등과 같이 바닥 배수에서 겨울철 난방을 할
경우에는 주의를 해야 한다.
⑤ 역압에 의한 작용 :비교적 대규모 설비에서 상층의 다수의 기구를
연이어 사용하 때 횡주관의 유수와 상부
의 유수사이에 속도의 차가 생겨 피스톤 작용으로 입관내의 공기가 압축되어
일어나게 되는 현상이다. 배수
관은 선 하향구배, 통기관은 자연스럽게 배수관에 유하하도록 조금 선상향 구배가 되도록
배관을 한다.
그림2-3 트랩의 봉수가 파괴되는 현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