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엄마와 함께 하는 과학 실험
토양환경
2007. 3. 7. 10:26
엄마와 함께 하는 과학 실험
영재 아이들이 제일 좋아하는 과학시간! 부엌에서, 마당에서.. 엄마와 함께 과학적 사고를 부쩍부쩍 키우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감자, 오이, 당근 관찰하기
-오감이용 야채 맞추기
1. 감자, 오이, 당근을 보면서 서로 다른 모양, 냄새를 느껴보게 합니다.
2. 다음에 야채를 큰 쟁반에 올려 놓고, 아이 눈을 가리고 알아 맞추기 게임을 해 봅니다.
엄마가 "감자!" 하면 손으로 더듬어 감자를 찾아내게 하세요.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를 말해 보게 한 다음 말한 것이 맞는지 눈을 풀고 확인합니다.
-야채 성질 관찰하기
1.칼로 썰어보게 해서 잘 썰리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해 보세요.
2.야채를 잘라 속 모양을 관찰하게 하고 야채마다 단단한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게 합니다.
모양을 말할 때 "길쭉해요"," 울퉁불퉁해요". 등으로 표현하게 도와주세요.
=> 촉각, 후각 등의 감각을 통해서 사물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촉각을 이용해 알아맞추는 과정에서 야채의 여러 종류와 생김새, 단단하기 등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어요.
나만의 칵테일 만들기
1. 콜라. 요구르트, 주스 등 3-4 가지의 음료를 준비합니다.
2. 각각 같은 양을 섞어서 색과 냄새를 관찰하고 맛보게 한 후에 어떤 맛인지 말해 보게 하세요.
=> 액체는 서로 섞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서로 섞이면서 색이 달라지고 맛도 변한다는 것을 알게 되지요.
그밖에 칼라믹스를 이용해서 크레파스에서 칼라믹스와 같은 색 찾기를 해보거나 다른 색깔을 섞어 반죽하면 어떤 색이 나오나 보는 것도 유사한 놀이입니다.
물에 뜨는 클립
1. 클립을 물에 넣어 가라앉는 모습을 보게 합니다.
2. 클립을 뜨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아이에게 물어 보고 여러 가지 답을 들어봅니다.
3. 쿠킹 호일을 잘게 잘라서 물에 올려 놓고 그 위에 클립을 올려 놓습니다. 호일과 클립 모두 가라앉지 않아요. 물론 클립을 위에 많이 올려 놓으면 그때는 그대로 가라앉습니다.
4.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지 물어보세요.
=> 물에는 표면 장력이 있어 표면에 닿은 물체를 밀어올립니다. 하지만 너무 무거워지면 압력이 커져 가라 앉게 되지요. 만약 쿠킹 호일을 더 크게 잘라 올려 놓으면 더 많은 클립을 올려 놓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된다는 점을 이야기하고 또 보여주세요.
물 속에 서는 빨대
1. 고무찰흙을 가지고 어떻게 빨대를 세울 수 있는지 이야기해 봅니다.
아이의 제안을 들어보고 말대로 해 보세요.
2. 빨대 한 쪽에 고무찰흙을 뭉쳐 끼우고 고무찰흙이 아래로 오게 하여 물 속에 세웁니다.
3. 아이도 같은 방법으로 빨대를 세워보도록 도와줍니다.
=> 빨대가 설 수 없는 것은 물보다 가볍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찰흙으로 무게중심을 잡아주면 물속에서도 서 있을 수 있습니다.
보물이 나타났다
준비물:양초, 투명컵 보물(동전, 물에 가라앉는 구슬, 반지 등) 물감 풀은 물
1. 불을 켠 양초를 접시 가운데 고정시키고 접시 위에 보물을 올려놓습니다.
2. 다 잠길 정도로 물감 푼 물을 붓고 컵을 엎어서 양초를 덮습니다.
3. 양초가 꺼져가면서 물이 컵 안으로 들어가고 동전과 구슬이 드러나게 됩니다.
=> 촛불이 타려면 산소가 필요한데 컵 속의 산소가 모두 연소되면서 물이 빨려 올라가게 됩니다. 컵 속에 생겨난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으면서 압력이 낮아져 물이 빨려 들어가는 것이지요.
아이가 이론까지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공기의 존재와 공기의 성분이 여러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정도로 설명해 주세요.
소다로 만든 화산
준비물: 납작한 접시, 고무찰흙, 식소다, 가루 합성세제, 식초
1. 고 무찰흙으로 산 모양을 만들어 윗부분을 움푹하게 파 놓습니다.
2. 준비한 소다와 세제를 넣은 뒤에 식초를 몇 방울 떨어뜨립니다.
3. 식초가 떨어지는 순간 화산에서 용암이 흘러내리듯이 부글부글 거품이 생기면서 흘러내려요.
=> 염기성인 소다와 산성의 식초가 만나면 화학반응을 일으켜 거품이 생기게 됩니다. 하나씩 놓고 보면 그냥 하얀 가루같지만, 저마다 다른 특성 때문에 서로 섞으면 거품이 생기는 현상이 일어남을 설명해 주세요.
과학에 흥미를 갖게 하는 세 가지 원칙
1. 항상 관찰하는 버릇을 들이자 -
아이가 궁금해 하는 것에 엄마도 함께 흥미를 보이고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궁금증을 갖도록 엄마가 유도해 주는 것도 좋아요.
2. 분류 개념을 가르치자 -
스스로 자신의 장난감이나 책을 종류별로 나누어 보게 합니다.
더 나아가서는 집안의 가구나 살림도구를 종류별로 묶어보는 등 분류하는 습관을 들여 보세요.
3. 실험 계획은 아이와 짠다 -
실험하기 전에 어떤 과정을 거쳐 할 것인지 함께 이야기합니다. 결과를 예측하게 해 보고, 생각을 말로 표현하도록 엄마가 도와주세요.
영재 아이들이 제일 좋아하는 과학시간! 부엌에서, 마당에서.. 엄마와 함께 과학적 사고를 부쩍부쩍 키우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감자, 오이, 당근 관찰하기
-오감이용 야채 맞추기
1. 감자, 오이, 당근을 보면서 서로 다른 모양, 냄새를 느껴보게 합니다.
2. 다음에 야채를 큰 쟁반에 올려 놓고, 아이 눈을 가리고 알아 맞추기 게임을 해 봅니다.
엄마가 "감자!" 하면 손으로 더듬어 감자를 찾아내게 하세요.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를 말해 보게 한 다음 말한 것이 맞는지 눈을 풀고 확인합니다.
-야채 성질 관찰하기
1.칼로 썰어보게 해서 잘 썰리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해 보세요.
2.야채를 잘라 속 모양을 관찰하게 하고 야채마다 단단한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게 합니다.
모양을 말할 때 "길쭉해요"," 울퉁불퉁해요". 등으로 표현하게 도와주세요.
=> 촉각, 후각 등의 감각을 통해서 사물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촉각을 이용해 알아맞추는 과정에서 야채의 여러 종류와 생김새, 단단하기 등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어요.
나만의 칵테일 만들기
1. 콜라. 요구르트, 주스 등 3-4 가지의 음료를 준비합니다.
2. 각각 같은 양을 섞어서 색과 냄새를 관찰하고 맛보게 한 후에 어떤 맛인지 말해 보게 하세요.
=> 액체는 서로 섞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서로 섞이면서 색이 달라지고 맛도 변한다는 것을 알게 되지요.
그밖에 칼라믹스를 이용해서 크레파스에서 칼라믹스와 같은 색 찾기를 해보거나 다른 색깔을 섞어 반죽하면 어떤 색이 나오나 보는 것도 유사한 놀이입니다.
물에 뜨는 클립
1. 클립을 물에 넣어 가라앉는 모습을 보게 합니다.
2. 클립을 뜨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아이에게 물어 보고 여러 가지 답을 들어봅니다.
3. 쿠킹 호일을 잘게 잘라서 물에 올려 놓고 그 위에 클립을 올려 놓습니다. 호일과 클립 모두 가라앉지 않아요. 물론 클립을 위에 많이 올려 놓으면 그때는 그대로 가라앉습니다.
4.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지 물어보세요.
=> 물에는 표면 장력이 있어 표면에 닿은 물체를 밀어올립니다. 하지만 너무 무거워지면 압력이 커져 가라 앉게 되지요. 만약 쿠킹 호일을 더 크게 잘라 올려 놓으면 더 많은 클립을 올려 놓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된다는 점을 이야기하고 또 보여주세요.
물 속에 서는 빨대
1. 고무찰흙을 가지고 어떻게 빨대를 세울 수 있는지 이야기해 봅니다.
아이의 제안을 들어보고 말대로 해 보세요.
2. 빨대 한 쪽에 고무찰흙을 뭉쳐 끼우고 고무찰흙이 아래로 오게 하여 물 속에 세웁니다.
3. 아이도 같은 방법으로 빨대를 세워보도록 도와줍니다.
=> 빨대가 설 수 없는 것은 물보다 가볍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찰흙으로 무게중심을 잡아주면 물속에서도 서 있을 수 있습니다.
보물이 나타났다
준비물:양초, 투명컵 보물(동전, 물에 가라앉는 구슬, 반지 등) 물감 풀은 물
1. 불을 켠 양초를 접시 가운데 고정시키고 접시 위에 보물을 올려놓습니다.
2. 다 잠길 정도로 물감 푼 물을 붓고 컵을 엎어서 양초를 덮습니다.
3. 양초가 꺼져가면서 물이 컵 안으로 들어가고 동전과 구슬이 드러나게 됩니다.
=> 촛불이 타려면 산소가 필요한데 컵 속의 산소가 모두 연소되면서 물이 빨려 올라가게 됩니다. 컵 속에 생겨난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으면서 압력이 낮아져 물이 빨려 들어가는 것이지요.
아이가 이론까지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공기의 존재와 공기의 성분이 여러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정도로 설명해 주세요.
소다로 만든 화산
준비물: 납작한 접시, 고무찰흙, 식소다, 가루 합성세제, 식초
1. 고 무찰흙으로 산 모양을 만들어 윗부분을 움푹하게 파 놓습니다.
2. 준비한 소다와 세제를 넣은 뒤에 식초를 몇 방울 떨어뜨립니다.
3. 식초가 떨어지는 순간 화산에서 용암이 흘러내리듯이 부글부글 거품이 생기면서 흘러내려요.
=> 염기성인 소다와 산성의 식초가 만나면 화학반응을 일으켜 거품이 생기게 됩니다. 하나씩 놓고 보면 그냥 하얀 가루같지만, 저마다 다른 특성 때문에 서로 섞으면 거품이 생기는 현상이 일어남을 설명해 주세요.
과학에 흥미를 갖게 하는 세 가지 원칙
1. 항상 관찰하는 버릇을 들이자 -
아이가 궁금해 하는 것에 엄마도 함께 흥미를 보이고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궁금증을 갖도록 엄마가 유도해 주는 것도 좋아요.
2. 분류 개념을 가르치자 -
스스로 자신의 장난감이나 책을 종류별로 나누어 보게 합니다.
더 나아가서는 집안의 가구나 살림도구를 종류별로 묶어보는 등 분류하는 습관을 들여 보세요.
3. 실험 계획은 아이와 짠다 -
실험하기 전에 어떤 과정을 거쳐 할 것인지 함께 이야기합니다. 결과를 예측하게 해 보고, 생각을 말로 표현하도록 엄마가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