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어려운 공부하나 하도록 합시다(완충능력)
우리의 삶에도 완충(Buffer)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스폰지처럼 세상의 일들을 받아들일줄도 알아야 하구요.
그래서 어떤 충격적인 것에도 완화할 능력의 소유가 필요한듯..
나이를 들면서 더욱....
그런것처럼 우리의 물에는 완충용액이 있습니다.
완충용액(Buffer Solution)
1. 정의
- 외부로부터 어느 정도의 산 또는 염기를 가해도 그것들의 영향을 받지 않고 수소이온농도를 일정하게 유지 하려고 하는 성질을 완충능력(Buffer Capacity)라고 함.
- 완충능을 가진 용액을 완충용액 또는 완충액이라고 함.
- 일반적으로 약한산과 그염, 또는 약한 염기와 그염의 혼합용액이 완충작용을 한다.
2. 실례
1) 자연수의 완충능력
- 외부로부터의 작용에 의하여 그 영향을 완화시키려는 성질
- 자연수 중에는 이산화탄소의 용해에 의해 HCO3, CO3²-이온 존재
- 외부에서 염기성 물질이 들어와도 비교적 안정한 pH유지
- 자연수의 완충력이란 그 용량이 매우커서 오염물질이 들어오더라도 물리, 화학, 생물학적작용에 의해 안정하나 pH 유지와 원상회복을 유도하게 됨.
2) 하수의 완충능력
- 하수속에는 완충능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염류와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음
- 이러한 이유 때문에 완충능의 작용으로 하수처리과정에서도 비교적 안정된 pH 를 유지할 수 있음.
- 하수는 분뇨 등으로 인해 CO3²-, HCO3-알칼리도 유발물질 영향으로 AlK가 높다 【분뇨성분 : ((NH₄)₂CO₃, NH₄HCO₃】
* 알칼리도 : 산을 중화할 수 있는 완충능력
3. 완충액의 예
1) 약산인 아세트산과 그염인 아세트산나트륨
2) 약염기인 암모니아와 그염인 염화암모늄을 혼합액 수용액
4. 완충용액의 pH
1) 핸더슨 하셀발리(Henderson-Hasselbalch)에 의하여 다음식으로 나타낼수 있음.
2) pH = pKa + log【(salt)/(acid)】←식유도는 별도로 하시기 바람
3) 산에 염기를 가하면
- 【OH-】에 의하여 수소이온 H+이 소비되면서 다량의 산이 전리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pH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
4) 염기에 산을 가하면
- 수소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이와 결합하여 산을 형성하므로 이 때문에 용액의 pH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
5) 공통이온효과 (정의)
- 약산과 그것의 염을 물에 함께 넣거나 약염기와 그염을 물에 함께 넣었을때 강산이나 강염기를 가하여도 용액의 pH가 크게 변화되지 않는 효과.(=완충작용)
5.완충강도(β)
- 완충강도(β)는 buffer intensity 혹은 buffer capacity 라고 하며 pH의 단위변화 대한 【OH-】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 β = △【OH-】/ △pH = -△【H+】/ △pH
(아래는 그냥 사진입니다.)
* 그냥 사진하나 올려봅니다. (뉴질랜드 퀸스타운 멀리서 본 마을) - 물생각땜에...
* 멀리보이는 만년설의 마운틴콕의 웅장한 모습입니다. (호수는 밀크블루)
* 우리나라 동해의 마지막
철책(남한의 금강산 콘도 앞)-감회가 있어서...작년가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