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스크랩] SMAS (침지식 막분리 System)

토양환경 2006. 4. 27. 01:43
  침지식막분리 SYSTEM
    

      [ 개 요 ]

    침지식 막분리 System(SMAS)은 Screen형상의 친수성 초정밀 여과용 중공사막(Hollow Fiber Membrane)을 직접 폭기조 내에 침지하여 고농도의 MLSS 고액을 분리, 여과를 동시에 처리하는 최첨단 오·폐수 처리 공법입니다.

      
[ 시스템의 장점 ]
     유입수 부하변동에도 항상 안정적인 고도의 처리수질을 확보.
     흡인여과방식으로 유지관리비가 저렴.
     설치 면적의 최소화로 타 공법과 비교하여 매우 경제적임.
     탁월한 여과성능으로 만족한 처리수질 보장
     처리용량 증대시 간단하게 보완가능

    Example ( Waste water treatment )

    Example ( River water purification )


 
      [ 중공사막 (中空絲膜) 휠터엘레먼트 ]
    1. 막 소 재

    본 중공사막(中空絲膜)의 재질은 열연산법에 의한 Polyethylene이며, 막표면에 친수성이 될 수 있도록 코팅(Coating)을 하여, 오탁이 심한 수질에 대해서도 막면에 오탁물의 부착 및 퇴적이 최소화 되도록 제작되었다.


    2. 막의 형상

    묘듈형상을 기존의 Housing Type에서 Housing이 없는 침지형으로 개선하여 중공사(中空絲)를 고정부 양단에 고정시켜 직접 수중(폭기조)에 침적시킴으로써 고액분리를 행한다.
 

   < 막 Module의 구조 >


      
[ 막의 사양 ]

              중공사막 사양
구        분
사         양
중공사막
소         재
폴리프로필렌(친수화)
공         경

0.4μm

외경 / 내경
520μm/360μm
인 장 강 도
170 gf/fil
파 단 신 율
≥ 30%
순수투과량
10 ml/cm2 min(1.0 kgf/cm2)

              분리막 모듈 사양
구         분
사          양
재질
모듈
ABS
Potting 재

Polyurethane

프레임
STS
규격
10 m3/day
517W×553L×1435H
15 m3/day
517W×753L×1435H
20 m3/day
517W×953L×1435H
25m3/day
517W×1180L×1435H
사용조건
최대사용차압
-0.2 kgf/cm2
사용온도
≤ 40℃
적정 pH
pH 4∼12

 
      [ 적용 분야 ]
     오폐수 고도 처리

      상수원 보호구역과 같이 방류수 수질기준 농도가 BOD, COD, SS 10ppm이하로 강화되는 지역의 오폐수 처리에 적합하다.


     중수 재이용

      본 제품의 처리수질은 수돗물과 같이 깨끗하므로 별도의 고도처리 공정 없이 중수도로 이용 가능하며 공정이 단순한 패키지 형태의 시설이므로 좁은 공간에 설치가 용이하여 중수도의 설치가 의무화되는 건축물의 중수처리 공정에 매우 적합하다.


     오폐수량 증가에 따른 기존 설비의 증설

      오폐수의 발생량이 증가하여 시설을 증대해야 할 경우 기존의 시설을 그대로 이용하여 폭기조내에 막을 설치하고 처리수량 및 수질의 증대를 기할 수 있다.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

      슬러지 침강성에 따른 수질 변동이 없어 폭기조내의 미생물을 고농도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축산폐수, 식품폐수를 비롯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처리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농도가 0에 가까워 영양물질(N,P)제거 공정의 부하를 줄여주는 역활을 하기 때문에 후처리 공정의 선택이 용이하다.

      
[ 대용량 콘크리트 R.C형 ]

      
[ 소용량 FRP 일체형 ]

 
      [ 침지식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의 수질분석 결과 ]
구 분
규 제 사 항
오염물질 농도
처리효율(%)
처리전
처리후
국 내 실 증 자 료
BOD
209.0
1.1
99.5
SS
118.0
1.0
99.1
T-N
24.1
8.0
66.8
T-P
2.1
0.6
71.4
일 본 실 증 자 료
BOD
187.0
1.4
99.2
SS
171.0
1.0
99.4
T-N
47.0
5.6
88.0
T-P
4.8
1.69
64.8

      
[ 막분리 시스템의 MERIT ]

 

분리막 모쥴
(HHH 634:6m
2,
LHF 234:1.5m
2)
폭조기 내 분리막 사용 실례 처리전 처리후의 비교   


    1. 완벽한 처리수질보장

    고농도의 활성화된 MLSS(10,000~15,000ppm)로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량 및 유입수농도의 변동에 따른 충격을 방지하고 높은 BOD제거효율과 친수성 중공사막의 완벽한 고액관리로 항상 완벽한 처리능력을 갖추어 높은 처리효율을 가질수 있음.


    2. 악취발생문제 해소

    기존의 처리시설은 장시간 폭기조의 유기물을 산화분해하는 과정과 침전조의 침전 불량으로 인하여 항상 악취가 발생되어 왔지만, 본 공법은 유기물질 분해시간과 침전조가 없이 폭기조내에서 강제 Pumping을 하므로 악취에대한 문제가 전혀 발생치 않음.


    3. 시설면적의 축소화

    종래의 처리시설은 장시간폭기 방식으로 처리용량에 비례하여 조의 크기가 결정되므로 넓은 부지면적이 필요하였으며, 후단에 침전조와 3차 여과처리설비로 복잡한 설비가 필요하였으나, 본 공법은 기존 처리방식에 비례하여 폭기조 용적을 1/2 ~ 1/5까지 축소하여 설계가능하므로 전체 설치면적을 약 1/2정도로 축소화할 수 있음.


    4. 기존시설과 완벽한 호완성  

    기존의 재래식공법에서 법적 강화로 수질을 개선할 때 별도의 토목공사 없이 본 System을 적용하면 기존의 구조물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내부시설만 보완하여 원하는 수질을 보장함.


    5. 중수도로 이용시 가능

    처리수의 수질이 BOD, SS≤5mg/1 로 탁월하여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재이용이 가능하고, Membrane Filter에 의한 대장균 및 일반세균 등의 제거가 가능함으로 중수도로 재 이용이 높음.

      
[ 침지식막분리 시스템과 표준 활성오니법과의 비교 ]
항 목
침지식 막분리
표준활성오니 처리
처리공정
원수 → 조정조 →막분리 포기조→처리수 원수 → 조정조 → 포기조 → 침전조 → 2차처리(접촉포기조) → 침전조 → 처리수


설치 공정
설치면적이 작다(약 1/2이하)
(침전조, 모래여과가 불필요)
(폭기조의 소형화)
많은 조(TANK)와 설비가 필요
비용
설치설비의 콤팩트에 의한 비용감소(약 1/2 ~ 3/4) 종래와 같이 비용이 듬
확장성
기존의 조를 기본으로 막유니트를 추가하면 처리수량 증가가능 조(TANK)나 공정자체의 개조가 필요


안정성
항상 안정된 처리수를 확보
재이용이 가능한 투명도를 확보
MLSS의 변동에도 영향없슴
오니의 유출이 염려(이상 강수등)
처리수에 오니혼입이 있을수 있슴
효율성
고농도 폐수에서는 무희석이 가능
오니발생량이 극소 → 처리비 감소
고농도의 원수는 희석이 필요
고농도에 의한 침강불량의 가능성 있슴


유지 관리
유지관리 기술이 불필요
간단한 관리
(기기의 보수와 수질 확인)
원격관리가 가능(자동화)
막교환은 카트리지식으로 용이
후단에 여과기 사용시 여재의 눈막힘이 없이 효율이 좋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
전담 관리기술자가 필요
(기기관리, 오니관리, 수질관리)
현장에서의 관리가 필수
비용
오니 처리비가 적다. 오니처리비는 종래와 같은 비용이 듬
종 합 평 가
설치공간 축소, 콤팩트화
낮은 비용
수질면의 안정성이나 관리가 용이
기존 시설의 용량부족시 기존조에 막을 침지하여 용량부족을 간단히 해결할 뿐더러 효율을 향상시킴
종래의 폐수처리 방법
설치부지면적이 많이 차지한다
처리수의 수질관리가 어렵다.
 
출처 : 깨끗한 물
글쓴이 : 이해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