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 HBR-Ⅲ
PROCESS |
본 기술은 혐기조, 간헐포기 1, 2, 3, 4조로 구성된 하수처리공정에서 혐기조, 간헐포기조,
내·외부에 수중형 및 지상형 Bio-Reactor를 설치하고, 배양되어진 미생물을 혐기조 및 간헐포기조에 공급함으로써 짧은 체류시간 내에
질소/인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하수고도처리기술 |
2. HBR-Ⅲ 공법
공정도 |
 |
3. 미생물의 의한
제거기전 |
본 기술은 혐기조, 간헐포기 1, 2, 3, 4조로 구성된 하수처리공정에서 혐기조, 간헐포기조
내·외부에 수중형 및 지상형 Bio-Reactor를 설치하고, 배양 되어진 미생물을 혐기조 및 간헐폭기조에 공급함으로써 짧은 체류시간 내에
질소/인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하수고도처리기술이다.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처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이론은 부식화반응이다.
미생물 활성에 의한 대사산물과 공정내의 유기물이 반응하면 화학적으로 안정한 고분자 화합물을 형성하는데 이런 일련의 과정을 부식화반응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부식화반응을 통해 형성된 부식물질은 재차 미생물의 대사활동을 증진시키게 되며, 이러한 활발한 신진대사를 통해 공정 내
유기물질뿐만 아니라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 그리고 유입원수 내 악취유발물질까지도 제거되며, 여기서 발생한 슬러지는 매우 안정된 형태를 띄게
되어 이후 슬러지 농축 및 탈수과정에서 효율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4. 설계 및 운전
인자 |
구 분 |
단
위 |
설계 및
운전인자 |
봄 / 여름 |
겨
울 |
혐기조 |
HRT (hydrolic retention
time) |
hr |
1 hr |
1 hr |
MLSS |
㎎ / ℓ |
2,000~3,500 |
2,500~4,000 |
간헐
포기조 (#1~#4) |
HRT (hydrolic retention
time) |
hr |
5 hr |
5 hr |
SRT (solid retention
time) |
day |
5~20 |
10~30 |
MLSS |
㎎ / ℓ |
2,000~3,500 |
2,500~4,000 |
DO |
㎎ / ℓ |
포기시 : 2.0 이상 비포기시: 0.5
이하 |
포기시 : 2.0 이상 비포기시: 0.5
이하 |
간헐포기주기 |
min / min |
40/20 |
50/10 |
F / M 비 |
gBOD / gMLSS / day |
0.1~0.3 |
0.1~0.3 |
최종 침전조 |
외부 반송비 |
% |
50~100 |
50~100 | |
5. 운전
효율 |
구 분 |
BOD |
CODmm |
SS |
T-N |
T-P |
유입수 |
146.9 |
63.5 |
86.2 |
36 |
4.1 |
처리효율(%) |
95.6 |
84.3 |
93.3 |
66.5 |
94.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