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스크랩] KIDEA Precess(단일반응조 간헐방류식 장기포기공정에 의한 하수고도처리)

토양환경 2006. 4. 27. 01:48

 

KIDEA 공법은 과학기술부 주관하에 수행된 엔지니어링 핵심공통기반기술 개발사업의 일환인
수처리신기술공정개발사업에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와 금호산업(주)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개발한 국산신기술로 유기물질(BOD, COD)의 처리효율을 95% 이상으로 개선하고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는 영양염류(T-N, T-P)의 제거율을 70~80% 이상으로 개선시킨 하수고도처리공법

 

단일생물반응조내에서 반응조 하부전체에 고르게 연속유입되는 하수를 포기, 침전, 간헐방류
3단계의 주기적인 반복순환을 통해 유기물의 생물학적산화와 고형물의 분리가 이루어지며,
유기물(BOD), 부유물질(SS)제거는 물론 수계에 부영양화와 적조를 유발하는 영양소인 질소(N),
인(P)까지 제거하는 간헐방류식 장기포기공정으로 슬러지반송 및 교반기가 없으며 포기단계
에서 슬러지혼합액을 인발하여 인을 제거하는 기술성과 국산화 및 소요부지 절감으로 시설투자
비가 적고 운전자동화 시스템(디켄터 및 운전프로그램포함) 도입으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운영비가 저렴한 경제성을 보유한 하수고도처리 공법이다.

 

균등분배

반응조 하부에 균등분배배관을 설치하여 연속유입되는 하수를
반응조 전반에 균등하게 공급함으로 내부반송 불필요
- 유입수의 균등분배로 전체 슬러지층을 이용한 충분한 탈질반응 유도

공법의 검증

국내 하수를 대상으로 한 다년간의 기술개발로 운전조건의 정립  (동절기 포함) 및 안정적인 처리효율의 확보가 가능하며
건교부 신기술(제111호,1998.7) 및 환경부 국산신기술(제7호,
1999.12) 지정과 환경부 기술평가로 검증된 공법

DO 자동제어

PID에 의한 반응조의 DO를 단계적(최대 10단계)으로 제어함
으로서 최적의 운영상태를 유지 - 포기 초기단계와 후기단계의 DO농도를 낮게 유도하여 질소 제거 효율을 제고하고 포기종료후 최단시간내 무산소 및 혐기성 조건 유도

운영프로그램

국내기술진에 의한 자동운영프로그램 개발 및 한글화
- 주기적인 Cycle 변환과 자동제어기능에 의해 하수의 유입
성상 및 부하변동에 대한 대응력이 탁월(운전조건의 자동변환
기능 보유)

운영관리

운전주기가 짧고 유량 및 수질변동 등 부하변동에 대한 대응력 탁월
- 단일반응조 및 주요자재의 국산화로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
저렴
방류기의 속도제어로 월류부하량 자동조절이 가능하며
상부설치로 유지보수 용이

 

 

 

 

출처 : 깨끗한 물
글쓴이 : 이해일 원글보기
메모 :